본문 바로가기

죄를 범하면 "악" 한가? 아니다 "정의" 롭지 않을뿐 > 좋은글 명언 윌리엄 이야기


좋은글 명언 HOME


고전명언


죄를 범하면 "악" 한가? 아니다 "정의" 롭지 않을뿐

페이지 정보

작성자 WilliamCho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142회 작성일 25-05-14 12:44

본문



죄를 짓는 순간, 인간은 “악(惡)의 화신”으로 변모하는가―아니라, “정의(正義)의 결핍”으로 기울어질 뿐이라는 이 문장은, 악을 실체가 아니라 \*\*결여(缺如)\*\*로 바라보는 고전적 관점을 함축합니다. 성 아우구스티누스가 설파한 \*“악은 선의 부재(privation of good)”\*라는 사유를 떠올리시면 이해에 도움이 됩니다.


1. **“악”이라는 실재(實在)를 부정합니다.**

   악이란 독자적 본질을 지닌 실체라기보다, 마땅히 있어야 할 정의‧선‧질서가 빠져나간 “공백”이라는 뜻입니다. 어둠이 빛의 부재이듯, 악도 정의의 부재로 설명됩니다.


2. **행위자에 대한 규정이 달라집니다.**

   “악하다”고 단정하면 사람 자체가 부정적으로 낙인찍힙니다. 반면 “정의롭지 않다”는 표현은, 그 순간의 행위와 상태를 지적할 뿐 인간 전체를 절대적 추락으로 몰아붙이지 않습니다.


   * *악하다*: 본성적, 영구적 규정의 뉘앙스

   * *정의롭지 않다*: 일시적, 교정 가능한 결핍의 뉘앙스


3. **윤리적 처방도 달라집니다.**

   악을 물리치려면 싸워 파멸시켜야 하지만, 정의의 결핍은 **채움과 회복**으로 극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관점은 응보(應報)보다는 **교정과 회복적 정의**를 지향합니다.


4. **인간관에 투영된 메시지**

   인간을 타락한 존재로만 보지 않고, 본래 선과 정의를 추구할 가능성을 지닌 **불완전한 존재**로 해석합니다. 죄는 그 가능성을 가린 그림자이며, 그림자는 빛이 돌아오면 거두어집니다.


요컨대, “악”이란 이름으로 타자를 절대 악마화하기보다, “정의롭지 않은 상태”라는 언어를 통해 **책임을 묻되 회복의 길을 열어 두자**는 담론입니다. 죄는 규탄하되, 인간 자체를 폐기하지 않는―그러한 사려 깊은 윤리적 시선을 담고 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요새 Chat Gpt가 좋긴 좋구먼...


---- 집은 장소가 아니라 사람이다. 먹고 자고 떠들고 머무는 물리적 장소가 아니라, 함께 먹고 자고 떠드는 사람들이 있어야 비로소 정의 내릴 수 있는 어떤 것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쓰기

내용
SNS 동시등록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Total 23 / 1 page
검색 열기 닫기
게시물 검색

좋은글 명언 목록